동문기고
안호원칼럼-준비된 아름다운 주음을 맞이하자
이 세상 어느 누구도 거부할 수 없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 있다면 아마 그것은 ‘죽음’이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무리 돈 많은 재력가도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권세가도 모두 죽음을 거역할 수 없을뿐더러 그 어느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 그 같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찾아올 죽음을 망각한 채 물욕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하루 하루의 삶을 잠식하며 살아가고 있다.
인간이라면 남녀노소 불문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 버릴 수는 없다. 모든 인간은 이 땅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에 대한 ‘카운트다운’이 시작됐음을 알면서도 자신에게 다가올 죽음의 그림자는 전혀 의식하지 않고 마치 남에게나 있는 일처럼 무관심하다.
특히 우리는 주변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의 소식을 접하며 인생의 가장 진한 비애와 상실을 체험하는 가운데 긴장과 함께 불안한 심정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누구에게나 가까운 사람들이 죽음이라는 이름으로 이 땅에서의 이별을 애도하며 떠나보냈던 마음의 상흔을 가지고 있다.
흔히 인생을 배우려거든 눈물과 슬픔의 이별이 있는 상가(喪家)를 찾아보라는 말이 있듯 일찌감치 삶이 죽음을 완성해 가는 과정, 혹은 죽어 가는 과정이라 느꼈다해도 어느 누구인들 죽음 앞에서 죽음이 존귀하고 아름다움의 순간임을 말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은 인생 최고의 피날레이고 또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문제는 그런 죽음이 나이에 따라 순차적이지 않고 생리적인 노화 현상으로만 오는 자연스러움에 있지 않다는데 있다.
이 땅에 종교가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죽는’ 문제 때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종교는 곧 죽음 때문에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지만 아쉽게도 지금까지 어느 종교도 죽음의 본질을 현실적으로 풀어내고 만족할만한 해답을 던져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은 원대한 신(神)의 일방적인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해석으로 그 비밀을 다독이고 있을 뿐이다. 어쩌면 우리는 ‘죽음’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고 동행할 수도 없기에 두려워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반면 죽음을 두려워하면서도 생(生)에 대한 애착을 강하게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거역할 수 없는 죽음에 대해서는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일까. 사람들은 언제 자신이 떠날지도 모르면서 선(善)과 악(惡) 사이를 오락가락하며 사랑과 베풂보다는 미움과 증오, 탐욕을 키워오면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 자신이 시한부 인생이라는 것을 잊고 살고 있다.
분명한 것은 어느 시간에 이르게 되면 종착지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출발지가 있으면 종착지가 있는 법이다. 생물(生物), 특히 사람이란 어차피 떠나야할 운명을 지니고 있기에 이 세상의 이별을 아쉬워하기보다는 떳떳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준비를 해두어야 한다.
남을 미워하고 저주하면서 지옥과 같은 이 세상에 미련을 두고 안간힘을 쓰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행복하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가 얼마든지 지키고 만들 수 있다. 누구든지 내일 아침 다시 눈을 떠 눈부신 햇살을 볼 것이라는 확신 없이 하루 하루를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죽음이기에 우리는 후회 없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살아 있는 동안 나보다는 남을 위한 삶으로 세상을 밝고 맑은 마음 속에서 이웃을 사랑하며 살아야 한다. 그래서 순간 순간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떳떳하고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하자. 간혹 잠시 후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가정해 보며 죽음을 맞이하는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의 하나다. 죽음을 생각해 보는 것은 자신을 되돌아보는 진지한 반성이며 나아가 삶에 대해서는 좀 더 진실한 자세를 갖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의 인사말 중 ‘샬롬’이란 말이 있다. 히브리어로 샬롬은 ‘안녕’ ‘평화’를 뜻하는 인사이다. 특히 유대인들은 장례식날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낼 때 ‘샬롬’이라는 인사를 한다. 이는 영원히 떠나보내는 이와의 작별인사이기도 하지만 죽음과 삶을 동등하게 바라보는 마음의 평화를 뜻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사랑하는 사람이 이 땅에 남아 있는 이들의 미래를 풍요롭게 해주기를 기원하는 뜻도 담겨져 있다.
삶이 있는 곳엔 죽음이 있기 마련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죽은 자는 아무말도 하지 않지만 단지 침묵만으로도 산 자에게 많은 느낌을 전해 준다. 죽음을 떳떳하게 맞이할 수 있는 사람은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을뿐더러 하나님과 모든 이들에게 진솔한 자기 고백을 하는 등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
어차피 맞는 죽음이라면 남아 있는 자들에게 욕먹는 죽은 자가 되어서는 안되지 않겠는가. 그래서 살아 있을 때 더 큰 사랑을 나누며 행복하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간절히 염원해 본다.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 이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