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기고
이형래-청춘을 되돌리는 약은 없다
[굿모닝 닥터] 청춘을 되돌리는 약은 없다
- 이형래 /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교수 -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전립선 비대증이 많이 알려지면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도 부쩍 증가했다. 요즘은 진료실로 불쑥 찾아와 “나는 전립선 비대증이고 신문에 레이저 치료가 좋다니 그 방법으로 치료해 주시오!”라고 본인 스스로 진단하고 치료법까지 정해서 오는 60대 노인 환자들을 가끔 본다. 필자가 검사를 먼저 받고 전립선 및 소변 상태를 확인한 뒤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설득해도 막무가내다. 모든 병이 다 마찬가지겠지만 전립선 비대증도 증상의 정도와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방법은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내과적 치료는 전립선 비대증이 경증이거나 중간 정도인 환자, 심신장애 등으로 수술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쓴다. 또 환자가 수술 받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소변이 지나가는 요도를 넓혀 배뇨를 원활하게 해주는 약제다. 이 약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과거부터 많이 사용해 왔고 현재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루에 한번만 복용할 수 있도록 개발돼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남성 호르몬이 전립선에 작용하는 것을 차단해 배뇨를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립선을 퇴화시켜 전립선 크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 여러 생약제제가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효과는 아직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내과적 치료는 수술치료에 비해 위험 부담이 적고 간편하다. 반면 이미 많이 진행된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는 적용이 어렵고,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 치료처럼 상당기간 또는 계속해서 관리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립선 비대증은 엄밀하게 따지면 병이라기보다는 정상적인 노화에 의해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현대의학이 발전했다고 하지만 청춘으로 돌아가는 약은 없다.
[[서울신문 2009-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