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회-해외동포와 문학교류 넓히는 뜻


동문기고 김종회-해외동포와 문학교류 넓히는 뜻

작성일 2008-12-19

[문화마당] 해외동포와 문학교류 넓히는 뜻
 
- 김종회 (국문75/ 30회) / 경희대 교수·문학평론가 - 
 
미국 청교도 문학의 대표적 걸작 ‘주홍글씨’를 쓴 너대니얼 호손(1804~1864년)은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 슬하에서 고독하게 자랐다.지극히 주변머리가 없던 호손은 생활이 궁핍했고 성격이 침울했다.나중에 그가 미국의 당대 최고의 소설가로서 명성을 떨칠 수 있었던 것은 전적으로 그의 친구들 덕분이었다.
호손이 보든 대학을 다닐 때 절친한 세 친구가 있었다.첫 번째 친구는 호레이쇼 브리지라는 이름으로 상당한 부호의 아들이었는데,신출내기 호손을 위해 조건 없이 출판비를 부담해 주고 그가 문단에 데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두 번째 친구는 장편의 서사시 ‘에반젤린’으로 유명한 시인 헨리 롱펠로였다.호손보다 먼저 문단에 자리잡은 그는 친구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책의 서문을 써주고 친구가 이름을 얻는 데 헌신적인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세 번째 친구는 후에 미국의 제14대 대통령이 된 피어스였다.대학시절부터 사교적이고 수완이 좋았던 피어스는 여러 가지로 호손을 도왔으며,말년의 호손은 대통령 피어스의 호의로 영국 리버풀의 영사로 가서 평화로운 집필생활을 하였다.호손은 피어스의 전기를 써 줌으로써 그 신세를 갚았다.

호손이 죽자 형제나 다름없던 친구들이 그의 마지막 길을 전송해 주었다.훌륭하고 좋은 친구들을 만나서 호손의 생애가 복된 것일 수 있었고,세 친구는 그들의 아름다운 우정의 결실로서 아메리카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 문필을 추수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들 모두는 인류 역사의 한 페이지를 호화롭게 장식한 거인이요 거장들이다.비록 우리가 그들처럼 시대를 넘어서 인구에 회자될 만한 중량을 갖지 못한 갑남을녀들이라 할지라도,그들이 온 생애를 통해 모범을 보인 우정의 결실을 본받지 못할 까닭은 없다. 이달 초 한 주간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하여,한국문학평론가협회와 경희사이버대학교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2회 미주동포문학상 시상식 및 문학 강연회 행사를 치렀다.미국 각지에서 수상자인 문인들이 그곳으로 모였다.현지 거주 원로 작가인 신예선 선생을 비롯한 미주 한인 문인들이 얼마나 성의 있게 안내하고 규모 있게 행사를 준비하는지 감탄할 수밖에 없었다.

거기는 한국의 평론가들과 미주의 문인들 사이에 쌓인 오랜 교분과 우정이 작용하고 있었다.사람을 아끼고 소중히 하는 일이야말로 눈에 보이는 축복임을 실감한 나들이였다.8만리 태평양을 건너서도,선한 인연에 선한 열매라는 이치는 어김이 없었다.

맨 처음 필자가 LA,뉴욕,샌프란시스코,시카고 등 미주 문단에 발걸음을 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이었다.아직 40대 중반의 들뜬 혈기와 문학에 대한 열정만으로 다가간 필자를 이들은 여러 모양의 시각으로,그러나 따뜻하게 맞아 주었다.기실 그 나이는 미주 문단에 나타난 한국 문인으로서는 가장 젊은 편이었다.

필자로서도 최선을 다하여,이들의 문학 현장을 들여다보았다.그리고 이를 한국문학에 잇대어 발표와 출판의 길을 찾고 또 함께 나누었다.그 중 여러분이 매년 4월 경남 하동에서 열리는 이병주국제문학제에 다녀가기도 했다.저 먼 곳 이방에 삶의 뿌리를 내리고 살면서 모국어를 잊지 않고 문학이라는 마음의 텃밭을 가꾸어 나간다는 사실만으로도,한국 문단은 이들에게 빚진 자의 심정이어야 옳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해외동포문학전집 24권을 발간하고 문학상을 제정하여 현지를 찾아가 시상하곤 하는 것은,이를테면 그 빚을 갚는 일이며 동시에 양자 간 교류의 통로를 넓혀가는 일이다.지난해 LA의 시상식에 이어 이번에도 그러했거니와,우리는 작은 씨앗을 심고 오히려 풍성한 실과를 수확하는 기쁨을 누렸다.

[[서울신문 200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