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기고
김종회-국적 있는 역사교육
[문화마당] 국적 있는 역사교육
- 김종회 (국문75/ 30회, 문학평론가, 경희대 국문과 교수) -
여고 3학년 학생이 6·25동란을 만나, 동생들을 데리고 피란생활을 해야 하는 일시적 ‘소녀가장’이 되었다. 그 하나하나가 모두 귀한 생명들이 속절없이 죽어 넘어지는 현장에서 ‘보랏빛 가지’로 연명하며 숨죽이고 숨어 살았다. 수복된 서울로 돌아온 이후, 노년에 이르도록 일생을 두고 그 전란의 기억을 무슨 형벌처럼 안고 살아야 했다. 그는 6·25가 명백한 전면적 남침이었고 도발의 일차적 책임이 북한에 있다는 사실의 생생한 목격자였다.
▲ 김종회 문학평론가·경희대 국문과 교수
지난 6월25일자로 발간된 재미 수필가 정옥희 선생의 수필집 ‘보랏빛 가지에 내 生을 걸고’에 실린 이야기이다. 팔만 리 시퍼런 태평양 너머 저쪽, 미국 캘리포니아의 미주한국문인협회 전 이사장으로서 미주 문인들의 글쓰기와 세상살이에 올곧은 사표(師表)가 되어온 그의 네 번째 수필집이다. 거기 동족상잔의 전쟁을 온 몸으로 감당한 처절한 체험담과 남북 간 민족사의 공과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기록하는 보기 드문 용기가 숨어 있었다.
이 글은, 그러기에 지나간 과거의 추억담이나 반성적 성찰에 그치지 않고 다음 세대를 향한 경계와 교훈을 담고 있는, 한 원로 문인의 값있는 조국 사랑을 대변한다. 무지개의 마지막 빛깔 보라색은 그 의미가 ‘사랑’인 점도 눈여겨보아 둘 만하다. 오늘날과 같이 남북 간의 관계가 급전직하로 변화하고 수많은 변수들이 작용하는 시대에,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이 전략적이고 탄력성이 있어야 마땅할 터이나 더 중요한 것은 명료한 역사적 사실을 외면하거나 왜곡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이 절절한 체험기의 저자가 글을 쓴 목적이었다.
과거의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백성에게 미래의 꿈이 있을 리 없다. 근자에 한 여론조사 전문기관에서 전국 중·고교생 1000여명을 대상으로 ‘안보 안전의식 실태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6·25동란이 언제 일어났는지 물었더니 1950년이라고 정확히 응답한 학생은 43%, 절반 이상이 언제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누가 전쟁을 일으켰느냐는 질문에는 48%만이 북한이라고 응답했고 일본과 미국 등이 뒤를 이었다고 한다.
세계화 시대를 앞세워 국사 가르치기를 소홀히 하는 교육 시스템은 하루속히 바로잡지 않으면 안 된다. 나라를 세운 지 불과 230여년밖에 안 되는 미국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이 된 것은 건국정신의 근본과 관련이 있고, 지금껏 미국의 학교들은 그 짧은 역사 가르치기에 강력한 중점을 두고 있다.
북한 핵문제,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독도 시비 등이 우리 역사의 실체적 진실 위에서 풀어 나가야 할 문제임은 불을 보듯 밝은 일이다. 이 현실 인식의 올곧은 근본주의를 훼파할 수 있는 자격이나 권한은 어느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는다. 일찍이 도산 안창호 선생이 “그대가 나라를 사랑하는가, 그러면 먼저 그대가 건전한 인격이 되라.”고 한 레토릭을 빌려 오자면,“그대가 나라를 사랑하는가, 그러면 먼저 그대가 올바른 국가관을 갖고 후세들에게 바른 역사를 가르치라.”라고 해야 할 판이다.
우리는 1년을 내다보고 농사를 짓고 10년을 내다보고 나무를 심으며 100년을 내다보고 사람을 기른다. 특별한 부존자원도 없이 지정학적으로 세계열강 가운데 놓여 여러모로 불리한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무역국가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은 ‘사람’이 가진 무형의 재산과 그 효용성을 극대화한 덕분이었다.
그 ‘사람’을,‘국적 있는 역사교육’을 통해 참으로 민족적 명운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양육하는 책임이 우리 세대에 있다. 온갖 세월의 풍상을 다 견딘 한 원로 문필가가, 전쟁 체험 세대로서 후대에 전하는 의로운 정신과 자기 개시(開示)의 민족애를 감동적으로 읽은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서울신문 2008-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