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이-그들의 방식으로 소통해야 한다


동문기고 윤성이-그들의 방식으로 소통해야 한다

작성일 2008-06-11

[열린세상] 그들의 방식으로 소통해야 한다

- 윤성이 / 경희대 정외과 한국정치 교수 -

[서울신문]청와대가 한 발짝 물러섰다. 쇠고기 협상 고시 관보 게재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한반도 대운하 논의도 유보했다. 성난 민심에 우선은 귀 기울이는 모습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지금의 사태가 진정되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국민들은 여전히 이 정부를 믿지 못하겠다고 한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치고 있다. 취임 직후 80%가 넘던 대통령 지지율도 백일 만에 20%까지 떨어졌다. 원인은 명백하다. 도덕성과 능력 모두 국민들을 실망시켰기 때문이다. 고소영 인사, 강부자 내각을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착잡했다. 땅을 사랑했고 오피스텔을 선물로 받았다는 변명을 들으면서 우리와는 정말 다른, 어느 별세계에 사는 사람들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도 마지막까지 놓지 않았던 한 가닥 희망의 끈은 경제 살리기였다. 어차피 죽어가는 경제를 살리라고 뽑은 대통령 아니냐고 자위했다.

그런데 믿었던 경제 살리기마저 지지부진하고, 오히려 살기가 더 팍팍해지면서 국민들은 이 정부에 걸고 있던 모든 희망의 끈을 놓아 버렸다. 나날이 번져가는 촛불집회는 그동안 쌓였던 국민들의 실망과 분노가 폭발한 것이다. 시민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단순히 광우병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다. 그러니 쇠고기 수입조건에 대한 재협상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정부에 대한 실망과 분노가 거둬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국민들에게 약속한 대로 ‘747’ 공약을 이뤄낸다면 아마도 그간의 많은 허물은 덮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나날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그 약속을 지키기가 쉽지는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남은 해법은 국민과의 소통뿐이다. 대통령도 이미 그동안 국민과의 소통에 미흡함이 있었다고 반성했다. 그렇지만 앞으로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에 대한 답은 주지 않고 있다.

먼저 메시아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국민들을 고난 속에서 구해 낼 선지자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심적 부담과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촛불집회에서는 독재타도라는 구호도 들린다. 이십여 년 전 민주화 투쟁에서 외쳤던 구호가 오늘 서울 한복판에서 다시 메아리치고 있다. 민주적 선거를 통해 뽑은 대통령을 향해 독재라니 가당치 않다. 국민들은 대통령의 일방적 독주를 더 이상 허용할 수 없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대통령에 끌려가는 지름길보다 비록 돌아가더라도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함께 가는 길을 원한다.

소통에 대한 자세와 함께 소통하는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 이번 촛불집회는 새로운 정치참여 문화를 보여주었다. 지금의 촛불집회는 특정 집단이나 소수의 개인들에 의해 주도된 것이 아니라 개인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다.

촛불 집회의 배후를 지목하라면 그것은 네트워크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인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함께 행동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화된 개인들은 이미 우리사회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아마도 현재 우리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을 꼽으라면 이들일 것이다. 그러니 촛불집회 배후세력을 찾아 그들과 대화하고 협상하면 이번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한참 뒤떨어진 아날로그적 사고방식이다. 문제의 본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화된 개인들 속으로 뛰어 들어가야 한다. 그들이 활동하는 공간 속에서 함께 얘기하고 들어야 한다.

인터넷 카페에서, 개인들의 블로그에서 그리고 아고라 토론방에서 대통령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때 비로소 네트워크화된 개인들과 소통하게 될 것이다. 아무도 들으려 하지 않는 대화는 일방적 전달일 뿐 소통이 아니다. 나의 방식이 아닌 그들의 방식으로 다가설 때 진정한 소통이 이뤄질 것이다.

[[서울신문 200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