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기고
공우석-지구온난화 위기를 기회로 삼자
[논단]지구온난화 위기를 기회로 삼자
- 공우석 (지리76/ 32회) / 경희대 교수·지리학 -
국제적 자연보호단체인 세계야생생물기금(WWF)의 2006년 보고서에 따르면 1970∼2003년에 사라진 생물은 육상종의 31%, 민물종의 28%, 바다종의 27%에 이르며 생물의 빠른 멸종을 가져온 요인으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보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2007년 보고서는 지구 평균기온이 1.5∼2.5도 상승하면 현재 지구 상에 살고 있는 생물종의 약 30%가 멸종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지구촌에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려는 여러 방안들이 시도 중이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온실기체 감축의무가 있는 국가에 배출쿼터를 부여한 뒤 이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이다. 공동이행제도는 선진국이 다른 선진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기체 감축분을 투자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청정개발체제는 선진국이 개도국에 투자하여 온실기체 감축실적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온실기체를 줄이는 의무를 가진 국가들은 199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2008∼12년 그 양을 평균 5.2% 정도 줄여야 한다. 이에 따라 2002년에는 런던증권거래소에 ‘온실기체 배출권 거래시장’이 개설되었고, 2005년에는 영국과 독일에서 이산화탄소배출권의 현물거래가 시작됐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04년에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 규모는 10억달러 미만이었으나, 2005년에 110억달러, 2006년에 300억달러를 넘었고, 2010년이면 1500억달러에 이르러 거래시장이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은 온실기체 배출량 세계 9위, 국내총생산(GDP) 12위 국가이지만 교토의정서에 따른 1차 감축 대상국이 아니어서 아직은 온실기체 배출을 감축할 의무는 없다. 하지만 1990∼2004년 한국의 연평균 온실기체 배출량 증가율은 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아 2013∼17년에 실행될 2차 온실기체 의무감축 국가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대기 중 온실기체는 산업혁명 이래 화석연료의 연소, 삼림 파괴 등 인간 활동으로 증가하였다. 온실기체의 증가에 따른 온실효과로 지표 온도는 20세기 동안 0.6±0.2도 상승하였다. 특히 지난 20년간은 20세기에서 매우 더웠던 시기로 과거 100년간 가장 더웠던 12개의 해 모두가 1983년 이후에 나타났다. 한국의 온난화 추세는 세계 평균치의 두 배 이상이며, 북한 개마고원 일대는 세계 평균치의 다섯 배 정도인 3.1도 기온이 상승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온난화가 산업화와 도시화뿐 아니라 삼림벌채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 결과임을 나타낸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의 약 370ppm에서 21세기에 490∼1260ppm으로 증가하면 지구 평균온도는 1990년∼2100년에 1.4∼5.8도 정도 상승할 것으로 본다.
세계경제포럼(WEF)이 2005년 발표한 환경지속성지수에서 세계 146개국 중 1위를 차지하며 환경 분야에서 최강국으로 알려진 핀란드는 지구온난화 위기를 기회로 바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기술과 서비스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 중국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산업구조 개편, 대체에너지 개발, 조림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도 지구온난화를 완화하고 이에 적응하는 다각적인 실천대책이 요구된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나무를 심고 가꾸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홍수 피해가 반복되는 북한에 조림하는 것은 북녘의 자연생태계를 회복하는 효과 외에도 우리의 미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일보 2007-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