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기고
김운호 -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비판도 제대로 알고 해야…잘한 일은 칭찬해줬으면"
-- 경희대 NGO대학원 김운호 교수 --
"비판하더라도 제대로 알고 해야 합니다. 잘 모르고 했을 때 해당 기업이 큰 타격을 입습니다." 각종 시민ㆍ사회단체 등 비정부기구(NGO) 전문가인 김운호 경희대 NGO대학원 교수(대외협력처장)는 NGO들의 기업 관련 활동에 대해 이렇게 조언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많은 시민단체들이 기업의 문제점을 폭로하고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해당 사안을 충분히 연구ㆍ검토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았다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도 이를 가장 강조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기업이 잘돼야 경제가 활성화되고 투자와 고용이 늘어나 NGO의 활동도 가능해진다며 기업과 NGO는 공동운명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기업과 NGO들이 날카로운 각을 세우는 것은 다분히 `한국적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말하자면 왜곡된 정치ㆍ경제 상황이 기업의 불투명한 거래와 불법을 야기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런 환경이 문제의 근원이란 얘기다.
김 교수는 때문에 NGO들이 한편으론 기업들의 비리나 탈법적 행위를 감시하고 비판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이같이 잘못된 환경에 대해서도 냉엄한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NGO들이 이젠 제도개선을 위해 많은 역량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NGO들이 기업에 대한 감시와 비판 기능은 활발히 수행하면서도 왜곡된 환경에 대해서는 외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올바른 NGO 활동을 위해선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한 행정절차나 제도 개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봅니다." 김 교수는 또 지금까지 NGO들이 감시와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기업들은 대부분 한국의 대표적 우량기업들이라며 이들이 잘하는 일을 칭찬하는 데에도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NGO들이 기업의 잘못에 대해선 비판하되 잘하는 것이 있으면 적극 칭찬하고 기업들의 발목을 잡는 잘못된 제도와 관행을 바로잡는 일 등 여러 스펙트럼의 운동을 동시에 진행해야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는 지적이다.
"선진국에선 제도와 관행이 잘 정비돼 기업의 비리가 드러날 경우 NGO가 나서지 않더라도 시장과 소비자가 자율적으로 처리합니다. 때문에 선진국에선 특정기업과 NGO가 싸우는 경우는 보기 힘듭니다. 우리나라도 궁극적으로 제도정비를 통해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김 교수는 나아가 "IMF 경제위기를 거치며 우리나라 기업과 경제의 투명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졌고 기업 이미지도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하고 NGO들도 이런 점을 인정하는 가운데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기업활동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활동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해럴드경제 2006년 5월 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