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래-양기부족? No!… 전립선비대증


동문기고 이형래-양기부족? No!… 전립선비대증

작성일 2008-10-07

[굿모닝 닥터] 양기부족? No!… 전립선비대증 

- 이형래 / 동서신의학병원 교수 -
 
우리나라에는 성기능과 배뇨에 대해 잘못된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남성이 많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소변의 굵기’다. 일부 남성은 소변의 굵기가 양기(陽氣), 즉 남성의 성기능에 비례한다고 생각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소변의 속도나 굵기는 성기능과 전혀 관계가 없다.
50∼60대 남성이 진료실로 찾아와 양기가 감소해 소변 보기 힘들다고 호소하는 사례도 많다. 공중 화장실에서는 더더욱 배뇨가 바로 되지 않아 힘들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성기능의 저하로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에 의해 생기는 증상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병명 그대로 전립선이 비대해지는 질환이다. 비대해진 전립선 한가운데를 통과하는 요도를 압박해 소변이 잘 안 나오게 된다. 중년 남성 중에는 자주 소변이 마려워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전립선비대증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기관이다.6쪽 마늘처럼 생긴 기관으로 방광 아래쪽 요도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다. 정상 성인이라면 전립선의 무게가 약 20g에 불과하다. 이 기관은 남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커진 전립선은 요도를 둘러 소변이 잘 나오지 못하게 방해한다. 전립선 비대증이 심해지면 성기능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하지만 소변의 굵기만 보고 성기능의 감퇴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전립선 비대증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소변을 자주 보는 ‘빈뇨’다. 하루에 두번 이상 야간에 소변 때문에 잠을 깨면 빈뇨를 의심해야 한다. 또 한참 힘을 쓴 뒤에 어렵게 소변을 보는 것도 빈뇨의 한 증상이다.

소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한 느낌이 들지 않고 한두 시간 이내에 다시 화장실에 가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전립선 비대증을 의심해야 한다. 병은 초기에 잡아야 한다. 방광에 잔뇨가 증가하면 급기야는 소변이 요관을 타고 역류해 콩팥을 확장시키는 ‘수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것이 진행되어 콩팥이 망가지는 ‘신부전’이 오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서울신문 2008-10-04]]